공포와 탐욕을 측정한다. CNN Fear & Greed Index

Untitled 8

이번에는 CNN의 Fear & Greed Index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공포와탐욕지수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가라 불리는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은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겼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탐욕스러울때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들이 두려워할때 탐욕스러워저라.” “Be fearful when others are greedy and greedy when others are fearful.”
오늘은 이 명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라가미 구니오의 주식시장의 사계절

Untitled 4

주식시장의 사계절을 들어보셨나요? 주식시장에 사계가 있듯이 주식종목에도 사계가 있습니다 우선 주식시장의 사계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90년대초 일본의 투자분석가 우라가미 구니오는 “주식시장 사이클 구분법”이라는 저서를 통해 주식시장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다이버전스에 대한 이해

r d

다이버전스(Divergence)의 사전적 의미는 분기, 차이, 이격, 발산입니다. 대부분의 기술적 지표는 가격을 따라가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함께 하락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주가와 지표의 움직임을 다이버전스라고 정의합니다.

기하평균과 변동성을 줄이는 방법

image 9

기하평균은 연속적인 투자에 사용하지만 산술평균에 비해 수치가 낮게 나옵니다. 하지만 아주 영리하게 통계의 안정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매번 투자할때마다 투자금액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나누고 시간과 가격을 분할하여 투자하는 것입니다.

기하평균이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fingers on ipad with graph on screen

주식 시장에서도 기하평균과 변동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변동성은 주식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고, 기하평균은 주식의 전반적인 수익률을 측정합니다. 그래서 이 두 가지 개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높을수록 주식의 수익률이 예측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기하평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수익률의 함정 :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spider web in close up photography

주식을 사는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의 수익률을 평가할 때 산술평균을 사용합니다. 산술평균은 모든 수익률을 더한 후, 그것을 수익률의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수익률을 과대하게 평가하는 함정이 있습니다.
이러한 함정을 피하려면, 기하평균을 사용해야 합니다.

주식투자자와 더닝-크루거 효과(f.우매함의 봉우리)

주식투자자와-더닝-크루거-효과-곡선-우매함의-봉우리

주식 시장은 변화무쌍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전문성과 경험이 없다면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더닝-크루거 효과를 이해하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문성과 경험을 쌓아 나가야 합니다. 더닝크루거 곡선은 초보자와 전문가의 실력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입니다. 이 곡선에 따르면, 초심자가 처음에는 높은 자신감과 함께 빠르게 발전하지만, 일정 수준의 전문성을 얻은 이후에는 발전 속도가 둔화됩니다.

주식투자에서 왜 개인 투자자가 돈을 잃는가?

a man in red shirt covering his face

주식투자에서 무작정 많은 지식을 쌓는 것이 돈을 벌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올바른 지식과 자신의 매매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인내심이 있다면 충분히 돈을 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지식과 인내심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상대적 도구로서 볼린저 밴드와 변동성

상대적-도구-볼린저-밴드-변동성

주식 투자에 있어서 변동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오늘은 변동성을 파악하는 상대적 도구로서 볼린저 밴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볼린저 밴드는 상대적인 주가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입니다.결국, 변동성은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의 동반자이자 도전 과제입니다. 볼린저 밴드와 같은 상대적 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변동성을 잘 이해하고, 투자에 대한 자신감을 갖을 수 있을 것입니다.

주식투자에서 상대적 척도가 필요한 이유

상대적-척도

성공투자로 가는 왕도는 기술적분석과 기본적 분석을 결합하는 것입니다. 이 둘을 결합하면 감정을 제어하면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주가뿐만 아니라 지표도 볼린저밴드를 적용하여 표준화 할 수 있고 이것은 지표를 상대적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